
템플릿은 초기에 정해두자
노션의 자유로움이 만드는 템플릿 독약
노션은 상당히 자유로운 에디터다. 여러 블로그 플랫폼을 써보았으면 알겠지만, 노션만큼이나 자유롭게 포스팅 글을 꾸밀 수 없다. 그 때문에 처음 노션으로 블로그를 한다면 이것저것 자주 바꾸기 쉽상이다. 문제는 자주 글을 바꾸는 행위가 사실 독약이 될 수 있다.

해당 글의 SEO 및 기능을 위한 코드 블럭이다. 초반에 제대로 정해두지 않아 몇번을 갈아 엎어야 했다.
서치 콘솔 “그래서 이게 최종인가요?”
다른 블로그 플랫폼들과 다르게 ‘노션+우피’ 블로그는 직접 SEO를 세팅해야한다. 내가 무언가 하지 않으면 절대 검색 엔진에 노출되지 않는다. SEO 세팅을 하면 바로 반영되는게 아니라 일정 기간이 걸린다. 여기서 문제가 발생한다. 노션에서 수정을 하면 우피에 반영되는 일정 시간이 걸린다. 그리고 우피에 반영된 글이 또 검색 엔진에 반영되는데 시간이 걸린다. 이 두 유통사를 거쳐야 검색 노출이 되는 것이다.
우리가 노션 편집의 편함 때문에 자주 글을 갈아 엎다보면 ‘검색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 없는 링크가 노출되기도 하고 Meta 정보가 과거의 내용이 반영되기도 한다. 유입에 악영향을 미치는건 말할 것도 없다. 이런저런 세팅을 해본다고, 노션으로 편집하니 편하다고 마구 바꾸기 시작하면 유입이 감소하는 것이다.
초반에 정하고 템플릿을 유지하자
해결책은 초반에 템플릿을 정하고 유지하는 것이다. 해당 템플릿으로 글을 작성했다면 내용은 변경해도 구조는 바꾸지 않는게 좋다. 현재 보여지는 글도 ‘코드 블럭 세팅, 목차 세팅, 리다이렉트 세팅’ 등으로 몇번을 변경한 상태다. 물론 그럴때 마다 기껏 노출되었던 글이 잘못된 링크가 되기도 했다. 초반에 방향성을 정해두는게 좋다.
애드센스 = 커스텀 도메인 구입
애드센스를 달고 싶다면 커스텀 도메인으로 시작
구글 애드센스를 달고 싶다면 커스텀 도메인이 필요하다. 처음부터 우피 가이드를 자세히 보지 않았다면 대부분 모르고 시작할 것이다. 구글 애드센스는 oopy.io 라는 기본 도메인에 붙일 수 없다. 메인이 아닌 하위? 서브? 도메인이라서 그렇다고 한다. 애드센스를 붙여 제대로 블로그를 하고 싶다면 일단 도메인부터 구입하고 연결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는 것이다.
도메인은 다양한 플랫폼에서 살 수 있다. 큰 상관은 없겠지만 우피에서 가이드에 자세히 안내하는 플랫폼은 다음과 같다. 도메인 구입으로 끝나는게 아니라 CNAME 입력을 통해 등록을 해줘야 하니, 이왕이면 우피에서 제공하는 가이드가 있는 플랫폼에서 사는게 좋지 않을까 한다.

우피 기본 도메인으로 시작을 이미 해버렸다면?
축하한다. 본인도 그랬다. 우피 기본 도메인으로 시작해서 세팅을 다 마쳤다면 슬픈 일이다. 애드센스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무조건 커스텀 도메인을 연결해야 한다. 그리고 나서는 다시 0부터 모든걸 다시 시작하면 된다. 새 도메인으로 사이트맵을 제출하고 페이지 수집 요청을 해야한다. 초기에 했던 검색 엔진 세팅을 초기화했다고 보면 된다. 그러니 무조건 도메인을 사서 등록하고 시작하자.
SEO를 위한 세팅은 필수
노션+우피에게 SEO 세팅은 필수
기존 다른 블로그 플랫폼을 사용하다 왔다면 SEO 세팅이 낯설게 느껴질 수 있다. 네이버, 티스토리 블로그는 별도로 세팅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물론 더 높은 순위 확보를 위해 노력을 가할 수 있지만 안해도 노출은 된다. 그저 플랫폼 가이드따라 글만 작성하면 알아서 수집해서 노출한다.
‘노션+우피’는 얄짤없다. 내가 하지않으면 노출도 없다. 0에 수렴하는 노출을 볼 수 있다. 초기에 세팅하면서 다양한 정보글을 보았는데 그중 하나가 열심히 운영하다가 나중에서야 사이트맵을 등록하지 않았다는 걸 알았다는 글이었다. 사이트맵을 검색 엔진에 등록하지 않았다면 노출이 거의 안된다.
노출이 잘된다는 보장은 없다
우피에서는 SEO 가이드를 제공한다. 기본적으로 해야할 건 다음과 같다.
1.
검색엔진에 사이트 등록 (네이버, 구글)
2.
사이트 등록 후 사이트 맵(sitemap.xml) 등록, url 수집 요청
3.
포스팅 글에 메타 태그 달기 (YAML or HTML)
위의 모든 방식을 했다 하더라도 노출이 잘된다는 보장은 없다. 네이버 블로그나 티스토리 블로그보다 노출이 더 안될 수도 있다. 구글에서 제공하는 PageSpeed Insight로 체크해보아도 성적이 그다지 좋지 않다. 속도 측면에서도 그렇고 글의 방식도 불리할 것이다. 노출 우선 순위나 수입을 생각한다면 티스토리 블로그가 낫다. 그러니 큰 기대하지 말고 그저 해본다는 마음으로 SEO를 하기 바란다.
노션 템플릿 복제는 끄기
노션 템플릿 복제 켜 놓은 사람이 많다
의외로 우피로 만들어진 블로그들을 몇개 보면 템플릿 복제를 켜둔 사람이 많았다. 켜둔다고 해서 무슨 큰 일이 있는 건 아니지만, 노션의 복제 기능은 말그대로 글 통짜 복사가 가능하다. 노션으로 이루어진 블로그 전체를 쓰윽 가져가서 그대로 남이 쓸 수 있는 것이다.
노션 템플릿 복제를 끄려면 PC 노션으로 공유에서 끄자
일단 노션 템플릿 복제를 끄는 것은 우피에서 제공하지 않는다. 노션 자체에서 해야한다. 또 모바일 노션으로 봐서는 해당 옵션이 나오지 않으므로 PC에서 해야한다. 블로그의 홈으로 쓰이는 페이지에서 공유 버튼을 누르고 들어가면 ‘Publish Site’ 항목에 템플릿으로 복제가 있다. 해당 옵션을 off 해주면 된다. 꼭 끄도록 하자.


Perplexity(AI)의 등장이 검색 시대의 끝을 이야기한다
인터넷의 발달은 검색을 오히려 더 힘들게 만들었다
인터넷이 발달하면서 역설적이게도 검색이 더 힘들어졌다. 과거 소수가 자료를 만들던 web 과도기 인터넷은 전문적인 정보들로 가득했다. 그러다 web 2.0 시대가 오면서 누구나 정보와 콘텐츠를 생산할 수 있게 되었고, 양적 성장과 반비례에 질적 하락을 불러왔다. 오류 투성이 정보들이 늘어났고 정보의 숲에 정보가 숨는 과 정보 시대가 되었다.
과다한 정보와 함께 광고도 문제가 되었다. 정보의 공유를 ‘마케팅’의 일환으로 사용함으로써 상업적 가치 아래 정보를 두게 되었다. 바이럴 마케팅의 확산은 더 최악이었다. 익명성 뒤에 숨어 광고가 아닌척 광고를 하는 마케팅 방식이 늘어난 것이다. 결과적으로 검색 엔진의 결과를 신용할 수 없게 되었다.
AI를 통한 검색은 인간에게 가장 친근한 문답이다
대안으로 제시되는 것이 AI 검색이다. 광고로 오염된 정보의 바다에서 원하는 것을 찾는 것에 질려버린 사람들은 AI의 발전에 힘입어 이를 검색 엔진으로 이용하고 있다. 최근 나오는 AI 서비스들의 성능은 놀라울 정도다. 검색 엔진에서 몇개의 페이지를 돌아다니며 모아야 하는 정보를 한번에 알려준다. 물론 그 과정에서 광고를 보지 않아도 되는 건 덤이다.
검색의 방식도 매우 친근하다. 검색 엔진은 특정 키워드를 통해 페이지를 나열하고, 우리는 결과 페이지에 직접 들어가서 맥락을 읽어내고 정보를 캐내야 한다. 반면 AI 검색은 우리에게 익숙한 문답에 가깝다. 질문하고 대답한다. 마치 선생님에게 답을 묻는 학생처럼 말이다. 우리가 해야 했던 키워드 선별과 맥락 읽기를 AI가 대신해 주는 것이다. 그저 우리는 생각 나는 대로 궁금한 것을 묻기만 하면 된다.
Perplexity는 AI 검색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Perplexity’는 우리에게 익숙한 chat GPT처럼 텍스트로 대화가 가능한 LLM AI 모델이다. 국내에서는 쓰는 사람을 많이 못 봤는데 북미에서는 큰 인기를 끌고 있다고 한다. 특히나 아마존 CEO인 제프 베조스가 투자하며 더 유명세를 탔다. (빅 테크 기업들이 죄다 AI에 투자하는 만큼 아마존도? 라는 생각이 든다)
검색 시대의 종말 _ Perplexity
2024/09/12

템플릿은 초기에 정해두자
노션의 자유로움이 만드는 템플릿 독약
노션은 상당히 자유로운 에디터다. 여러 블로그 플랫폼을 써보았으면 알겠지만, 노션만큼이나 자유롭게 포스팅 글을 꾸밀 수 없다. 그 때문에 처음 노션으로 블로그를 한다면 이것저것 자주 바꾸기 쉽상이다. 문제는 자주 글을 바꾸는 행위가 사실 독약이 될 수 있다.

해당 글의 SEO 및 기능을 위한 코드 블럭이다. 초반에 제대로 정해두지 않아 몇번을 갈아 엎어야 했다.
서치 콘솔 “그래서 이게 최종인가요?”
다른 블로그 플랫폼들과 다르게 ‘노션+우피’ 블로그는 직접 SEO를 세팅해야한다. 내가 무언가 하지 않으면 절대 검색 엔진에 노출되지 않는다. SEO 세팅을 하면 바로 반영되는게 아니라 일정 기간이 걸린다. 여기서 문제가 발생한다. 노션에서 수정을 하면 우피에 반영되는 일정 시간이 걸린다. 그리고 우피에 반영된 글이 또 검색 엔진에 반영되는데 시간이 걸린다. 이 두 유통사를 거쳐야 검색 노출이 되는 것이다.
우리가 노션 편집의 편함 때문에 자주 글을 갈아 엎다보면 ‘검색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 없는 링크가 노출되기도 하고 Meta 정보가 과거의 내용이 반영되기도 한다. 유입에 악영향을 미치는건 말할 것도 없다. 이런저런 세팅을 해본다고, 노션으로 편집하니 편하다고 마구 바꾸기 시작하면 유입이 감소하는 것이다.
초반에 정하고 템플릿을 유지하자
해결책은 초반에 템플릿을 정하고 유지하는 것이다. 해당 템플릿으로 글을 작성했다면 내용은 변경해도 구조는 바꾸지 않는게 좋다. 현재 보여지는 글도 ‘코드 블럭 세팅, 목차 세팅, 리다이렉트 세팅’ 등으로 몇번을 변경한 상태다. 물론 그럴때 마다 기껏 노출되었던 글이 잘못된 링크가 되기도 했다. 초반에 방향성을 정해두는게 좋다.
애드센스 = 커스텀 도메인 구입
애드센스를 달고 싶다면 커스텀 도메인으로 시작
구글 애드센스를 달고 싶다면 커스텀 도메인이 필요하다. 처음부터 우피 가이드를 자세히 보지 않았다면 대부분 모르고 시작할 것이다. 구글 애드센스는 oopy.io 라는 기본 도메인에 붙일 수 없다. 메인이 아닌 하위? 서브? 도메인이라서 그렇다고 한다. 애드센스를 붙여 제대로 블로그를 하고 싶다면 일단 도메인부터 구입하고 연결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는 것이다.
도메인은 다양한 플랫폼에서 살 수 있다. 큰 상관은 없겠지만 우피에서 가이드에 자세히 안내하는 플랫폼은 다음과 같다. 도메인 구입으로 끝나는게 아니라 CNAME 입력을 통해 등록을 해줘야 하니, 이왕이면 우피에서 제공하는 가이드가 있는 플랫폼에서 사는게 좋지 않을까 한다.

우피 기본 도메인으로 시작을 이미 해버렸다면?
축하한다. 본인도 그랬다. 우피 기본 도메인으로 시작해서 세팅을 다 마쳤다면 슬픈 일이다. 애드센스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무조건 커스텀 도메인을 연결해야 한다. 그리고 나서는 다시 0부터 모든걸 다시 시작하면 된다. 새 도메인으로 사이트맵을 제출하고 페이지 수집 요청을 해야한다. 초기에 했던 검색 엔진 세팅을 초기화했다고 보면 된다. 그러니 무조건 도메인을 사서 등록하고 시작하자.
SEO를 위한 세팅은 필수
노션+우피에게 SEO 세팅은 필수
기존 다른 블로그 플랫폼을 사용하다 왔다면 SEO 세팅이 낯설게 느껴질 수 있다. 네이버, 티스토리 블로그는 별도로 세팅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물론 더 높은 순위 확보를 위해 노력을 가할 수 있지만 안해도 노출은 된다. 그저 플랫폼 가이드따라 글만 작성하면 알아서 수집해서 노출한다.
‘노션+우피’는 얄짤없다. 내가 하지않으면 노출도 없다. 0에 수렴하는 노출을 볼 수 있다. 초기에 세팅하면서 다양한 정보글을 보았는데 그중 하나가 열심히 운영하다가 나중에서야 사이트맵을 등록하지 않았다는 걸 알았다는 글이었다. 사이트맵을 검색 엔진에 등록하지 않았다면 노출이 거의 안된다.
노출이 잘된다는 보장은 없다
우피에서는 SEO 가이드를 제공한다. 기본적으로 해야할 건 다음과 같다.
1.
검색엔진에 사이트 등록 (네이버, 구글)
2.
사이트 등록 후 사이트 맵(sitemap.xml) 등록, url 수집 요청
3.
포스팅 글에 메타 태그 달기 (YAML or HTML)
위의 모든 방식을 했다 하더라도 노출이 잘된다는 보장은 없다. 네이버 블로그나 티스토리 블로그보다 노출이 더 안될 수도 있다. 구글에서 제공하는 PageSpeed Insight로 체크해보아도 성적이 그다지 좋지 않다. 속도 측면에서도 그렇고 글의 방식도 불리할 것이다. 노출 우선 순위나 수입을 생각한다면 티스토리 블로그가 낫다. 그러니 큰 기대하지 말고 그저 해본다는 마음으로 SEO를 하기 바란다.
노션 템플릿 복제는 끄기
노션 템플릿 복제 켜 놓은 사람이 많다
의외로 우피로 만들어진 블로그들을 몇개 보면 템플릿 복제를 켜둔 사람이 많았다. 켜둔다고 해서 무슨 큰 일이 있는 건 아니지만, 노션의 복제 기능은 말그대로 글 통짜 복사가 가능하다. 노션으로 이루어진 블로그 전체를 쓰윽 가져가서 그대로 남이 쓸 수 있는 것이다.
노션 템플릿 복제를 끄려면 PC 노션으로 공유에서 끄자
일단 노션 템플릿 복제를 끄는 것은 우피에서 제공하지 않는다. 노션 자체에서 해야한다. 또 모바일 노션으로 봐서는 해당 옵션이 나오지 않으므로 PC에서 해야한다. 블로그의 홈으로 쓰이는 페이지에서 공유 버튼을 누르고 들어가면 ‘Publish Site’ 항목에 템플릿으로 복제가 있다. 해당 옵션을 off 해주면 된다. 꼭 끄도록 하자.

우피(oopy)로 블로그 만들기 03 _ 초기 세팅을 위한 팁 안내
2024/09/03